top of page
검색

성리학, 문명, 그리고 정치로 본 조선전기 시대 -정출헌, 『조선전기를 읽는 시각 조선전기 문명전환과 동국문명의 지평』 서평 / 김인호
이 책은 고전문학 연구자가 바라본 조선전기의 시대에 대한 시각과 해석을 다룬 것이다. 책의 서평을 부탁받았을 때, 잠깐이나마 주저하였다. 역사학자가 과연 고전문학 연구자가 쓴 책을 다룰 수 있을까에 대한 의구심 때문이다. 그런데 이 책은 문학사가...

한국연구원
2월 4일3분 분량
31
0

조선전기 ‘문명의식’을 다룬다는 난제- 정출헌, 『조선전기 문명전환과 동국문명의 지평』 서평 / 이상민
들어가며 조선 왕조 성립의 역사적 의미라는 문제는 한국 전근대사를 다루는 한국학 분야의 가장 뜨거운 연구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조선 시대에 대한 긍정/부정적 기대감의 과열은 자연히 역사 내에서 조선시대가 무엇을 ‘변화·창출시켰는지’에...

한국연구원
2월 4일4분 분량
111
0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인식하는 일: 정보라 『작은 종말』 리뷰 / 이지용
2024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의 수상 이유에 대해 스웨덴 한림원은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하는 강렬한 시적 산문”이라는 평을 전했다. 이를 통해 이 시대의 소설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어떤 질문과 대답을 확인할...

한국연구원
2024년 11월 4일3분 분량
138
0


『작은 종말』 리뷰 : 미래 없는 연대 / 마준석
1. 『판단력 비판』에서 칸트는 인간이 자연본성상 사회를 이루고자 한다고 혹은 자기를 전달하고자 한다고 짚으면서, 미적인 것이 오직 사회에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예컨대 만약 홀로 살아간 최초의 인간이 있었다고 한다면, 그 인간은 꽃을 집어...

한국연구원
2024년 11월 4일7분 분량
128
0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 리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밈적 희망이 가능한 이유 / 이소영](https://static.wixstatic.com/media/e687c0_69e2796ecc7c48f79df908091e122e2e~mv2.png/v1/fill/w_306,h_229,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e687c0_69e2796ecc7c48f79df908091e122e2e~mv2.webp)
[한국 인터넷 밈의 계보학] 리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밈적 희망이 가능한 이유 / 이소영
2021년 편의점 GS25 행사 포스터로부터 시작된 ‘집게손’ 논란이 최근에도 발생했다. 온라인 남초 커뮤니티의 일부 회원들이 르노 코리아의 신차 홍보 영상에서 여성 직원이 집게손 동작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는 점을 문제삼은 것이다.1) 집게손...

한국연구원
2024년 8월 7일5분 분량
311
0
bottom of page